본문 바로가기
건축기초&가이드/건축흐름이해하기(1~8단계)

STEP 2 설계단계

by 건축과 부동산을 아우르는 느낌 2025. 2. 5.


설계의 중요성

건축설계는 건축물을 구축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과 형태, 구조를 결정하며 이를 구체화하는 전 과정을 의미합니다. 건축사는 건축주의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구조적, 기능적, 미적인 측면에서 최적의 결과물을 도출합니다.
이 과정에서 설계가 잘못되면 부실공사, 설계 변경, 추가 시공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공사비 증가와 공기 지연의 주요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능력 있는 건축사를 선정해 적절한 설계비를 지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좋은 건축물은 설계사와 건설사가 짓는 것이 아니라, 현명한 건축주가 만들어갑니다.


 

 

건축사가 하는 일

건축사는 다양한 조건과 예산을 고려하여 건축계획을 수립하고 설계도서 작성 및 감리 업무를 담당합니다. 건축물의 디자인뿐 아니라, 공간 지각력, 미적 감각, 구조역학, 건축재료, 설비 지식이 필수적입니다. 건축사가 수행하는 주요 업무는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내용
건축물의 설계 건축사 고유 업무로 건축물 설계를 수행
건축물 공사감리 설계도대로 공사가 진행되는지 확인 및 감독
건축물의 조사/감정 현장 조사 및 유지관리 점검
건축물 사용승인 검사 지자체 위임을 받아 건축물 사용검사 수행

 

 

건축사사무소 선정방법

건축사사무소는 대형사부터 소형사까지 다양하며, 중소형 건축물을 계획하는 경우 중견 또는 소형 건축사사무소를 선택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올바른 파트너를 선정하기 위해 다음 사항을 고려하세요.

  1. 정보 수집: 원하는 건축물의 아웃라인과 예산을 사전에 조사합니다.
  2. 소통: 여러 건축사를 만나 소통이 잘되는지, 포트폴리오가 충분한지 확인합니다.
  3. 설계비 적정성: 품질 확보와 관련 서비스 제공을 위해 합리적 설계비용을 지불합니다.
  4. 건축사 자격 확인: 건축사 자격증 및 사무소 명칭을 통해 자격 여부를 확인합니다.

설계과정 및 기간

설계는 건축주의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진행되며, 아래와 같은 단계로 나뉩니다.

구분 내용
건축기획 현장조사 및 법규 검토를 통한 기본계획 수립
계획설계 구조, 기계, 전기, 소방 등의 허가용 도서 작성
중간설계 착공용 도면으로 상세도 작성
실시설계 공사용 도서 및 시방서, 내역서 작성

설계 기간은 규모와 내용에 따라 다르며, 단독주택은 약 30일, 아파트는 약 90일이 소요됩니다.


설계용역비

설계비와 감리비는 국토교통부가 고시한 대가기준에 따라 산정됩니다. 대한건축사협회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계산 프로그램을 통해 규모별 설계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공사비가 3억 원인 경우 설계비는 약 1,839만 원, 감리비는 약 462만 원이 산정됩니다. 그러나 실제 설계비는 건축사의 역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설계계약 및 유의사항

설계용역계약은 일반적으로 국토교통부의 표준 설계계약서를 사용하며, 계약 내용은 추가 및 변경이 가능합니다. 계약 체결 시에는 다음 사항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유의사항 기대효과
요구사항 반영 여부 확인 만족감 제고 및 분쟁 예방
설계완료일자 명기 변경 사항 발생 시 계획 수립 가능
지불 금액 및 시기 확인 자금 계획 수립 가능
계약 해제 조건 명시 분쟁 발생 시 대처 가능
손해배상 조건 확인 손해 발생 시 보상 해결

설계 계약의 체결과 진행은 건축 프로젝트의 성공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로, 꼼꼼한 계약 검토가 필요합니다.